연말 연례행사 중 하나, 바로 연말정산이죠. 2021 연말정산 핵심 키워드는 신용카드, 연금저축입니다. 매해 조금씩 달라지는 연말정산. 올해는 신용카드 공제가 다릅니다. 올해 신용카드 사용 금액이 지난해보다 많으면 100만 원의 추가 한도가 적용됩니다. 구매하려던 품목이 있다면 미리 구매하는 것도 좋겠죠?
그리고 두 번째 키워드, 연금저축입니다. 연금저축이 왜 필수냐 하면 매년 400만 원까지 납입할 경우 소득에 따라서 13.2%에서 16.5%까지 세액공제가 되기 때문입니다. 증권회사, 보험회사 등 여러 금융회사에서 판매되는 연금저축. 각각 판매되는 종류도 다르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연금저축을 통해 최대한 많은 공제를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간단합니다. 바로 400만 원은 연금저축으로 300만 원은 개인형 퇴직연금으로 넣는 것입니다. 이렇게 두 군데로 나눠 넣으면 연간 급여가 5,500만 원 이하일 때 약 115만 원, 급여가 5,500만 원을 초과할 때 약 92만 원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고경남 세무사 : 내가 내 돈을 저축하면서 공제까지 받을 수 있다? 저축한 금액 이외에 더 받는 것과 같기 때문에 페이백이 아니라 특별 보너스의 개념이라고 볼 수 있고요. 다만 연금저축은 장기 상품이다 보니 세액공제를 받은 뒤 중도 해지 시 세액공제를 받은 부분에 대해서 세금을 다시 납부하셔야 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몇 년 안에 목돈이 필요할 수 있다면 연금저축을 통한 세액공제는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는 겁니다. 세금을 피할 수는 없어도 절약할 수는 있습니다. 마지막까지 꼼꼼히 체크해야 13월의 월급 받아보실 수 있겠죠?
'항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동금리형이 늘어난 이유가 뭘까? (0) | 2021.12.13 |
---|---|
새로운 수출 효자상품, 딸기와 샤인머스캣 (0) | 2021.12.13 |
국민연금 반환일시금, 임의가입제도, 중복급여 조정을 사례를 통해 알아봅시다 (0) | 2021.12.13 |
클립 한개로 니트 정전기 없애는 방법입니다. (0) | 2021.12.13 |
먹는 영양제 비타민E나 C를 피부에 바르면 안되는 이유 입니다 (0) | 2021.12.13 |
댓글